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연제구 제2선거구

덤프버전 :

||
파일:연제구_제2선거구8.png
선거인 수81,287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연제구 일부
연산1동, 연산3동, 연산6동, 연산8동, 연산9동
시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김형철 (초선)




1. 개요[편집]


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연제구의 동부 지역을 관할한다. 1,8,9동3,6동 사이를 연산4동이 가로막는 월경지가 있는 선거구이다. 연산4동을 이 곳으로 넘기기만 하면 모양새가 자연스러워지지만, 1998년부터 쭉 모양새가 그대로인 상황을 생각해보면 앞으로도 이 상태 그대로일 것으로 보인다.

부산 평균에 근접하거나 그보다 살짝 높은 수준으로 국민의힘 지지세가 높은 부산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는 곳 중 한 곳이다. 부산 전반의 추세와 비슷하게 7회 지선 때만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하고 나머지 선거는 모두 보수 성향의 후보가 당선되었다.

2. 역대 선거 결과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연제구 제2,3선거구
제2대권영적
ta-hash-start=w-c34c0674051bde0e8850f8ce4f2ca37f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1995년 7월 1일 ~ 1998년 6월 30일[1]
오순곤[2]
연제구 제2선거구
제3대권영적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[3]
제4대이해동2002년 7월 1일 ~ 2006년 6월 30일
제5대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6년 7월 1일 ~ 2010년 6월 30일
제6대
무소속

2010년 7월 1일 ~ 2014년 6월 30일[4][5]
제7대
ta-hash-start=w-dc3c3c4e53cf6f123349e64674223b57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4년 7월 1일 ~ 2018년[6]
제8대박승환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8년 7월 1일 ~ 2022년 6월 30일
제9대김형철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

2.1.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연제구 제2선거구
연산2동, 연산3동, 연산4동, 연산5동, 연산6동, 연산7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권영적(權寧迪)-1위

ta-hash-start=w-75ab8ec90f11a4f0a172aee44bc801bc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-무투표 당선
선거인 수-투표율
-
투표 수-
무효표 수-

연제구 제3선거구
연산1동, 연산8동, 연산9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오순곤(吳舜坤)-1위

ta-hash-start=w-a0b45d1bb84fe1bedbb8449764c4d5d5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-무투표 당선
선거인 수-투표율
-
투표 수-
무효표 수-

2.2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연제구 제2선거구
연산1동, 연산3동, 연산6동, 연산7동, 연산8동, 연산9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권영적(權寧迪)20,056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52.79%당선
4송진호(宋珍浩)9,4162위

무소속

24.78%낙선
5오순곤(吳舜坤)8,5153위

무소속

22.41%낙선
선거인 수83,579투표율
47.48%
투표 수39,686
무효표 수1,699

2.3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연제구 제2선거구
연산1동, 연산3동, 연산6동, 연산7동, 연산8동, 연산9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해동(李海東)22,201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61.19%당선
3오순곤(吳舜坤)14,0762위

무소속

38.80%낙선
선거인 수86,476투표율
43.45%
투표 수37,581
무효표 수1,304

2.4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연제구 제2선거구
연산1동, 연산3동, 연산6동, 연산7동, 연산8동, 연산9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2이해동(李海東)25,803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67.06%당선
4장귀선(蔣貴先)8,1932위

ta-hash-start=w-1b806aff196bcc0cc103ed9e7303addf[[파일: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.svg
21.29%낙선
6여순모(余淳模)4,4763위

무소속

11.63%낙선
선거인 수81,330투표율
48.30%
투표 수39,285
무효표 수813

2.5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연제구 제2선거구
연산1동, 연산3동, 연산6동, 연산8동, 연산9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서원조(徐元祚)18,0742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48.99%낙선
7이해동(李海東)18,8181위
51.00%당선
선거인 수76,419투표율
49.95%
투표 수38,178
무효표 수1,286

2.6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연제구 제2선거구
연산1동, 연산3동, 연산6동, 연산8동, 연산9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해동(李海東)25,1711위
58.56%당선
3서희자(徐姬子)6,7853위
15.78%낙선
4박재홍(朴宰弘)11,0202위
25.64%낙선
선거인 수78,657투표율
56.19%
투표 수44,199
무효표 수1,223

2.7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연제구 제2선거구
연산1동, 연산3동, 연산6동, 연산8동, 연산9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승환(朴承煥)23,4251위
49.14%당선
2김수영(金秀榮)17,7732위
37.28%낙선
3박재홍(朴宰弘)3,4333위
7.20%낙선
6김문노(金紋魯)1,1025위
2.31%낙선
7정주영(鄭輳煐)1,1334위
2.37%낙선
8허준영(許埈榮)7986위
1.67%낙선
선거인 수81,262투표율
59.83%
투표 수48,620
무효표 수956

2.8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연제구 제2선거구
연산1동, 연산3동, 연산6동, 연산8동, 연산9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승환(朴承煥)14,4562위
35.57%낙선
2김형철(金亨哲)26,1841위
64.42%당선
선거인 수81,287투표율
50.74%
투표 수41,249
무효표 수609
더불어민주당에서는 박승환 시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.

국민의힘에서는 이해동 전 시의원의 경우 뇌물수수죄로 유죄를 받았으며, 김수영 전 구의회 의장의 경우는 사실상 정계 은퇴 상태라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. 토곡이 지역구인 김형철 구의원과 이열 바르게살기운동 연제구협의회 사무국장이 경선을 치러 김형철 후보가 승리하였다.

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:1구도가 형성되었다.

개표 결과 국민의힘 김형철 후보가 28.8%p의 큰 격차로 시의원으로 체급을 올렸다. 모든 동에서 김형철 후보가 63~67%를 득표하며 전체적으로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.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6.4% : 43.6%로 상대적으로 박승환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올리며 35%선만큼은 지키게 되었다.


[1] 연제구 제1선거구 (연산2동, 연산3동, 연산4동, 연산5동, 연산6동, 연산7동)[2] 연제구 제3선거구 (연산1동, 연산8동, 연산9동)[3] 연산1동, 연산3동, 연산6동, 연산7동, 연산8동, 연산9동[4] 연산1동, 연산3동, 연산6동, 연산8동, 연산9동[5] 2008년 3월 1일에 연산7동이 연산6동에 통합되었다.[6] 7회 지선 연제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